2025. 5. 26. 22:00ㆍ부동산
전월세 계약은 했는데…
신고는 정말 됐을까?
집주인이 잘 해줬겠지…
세입자가 알아서 했겠지…
생각하다 보면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.
그런데 이제는
신고가 안 됐을 경우 과태료까지 물 수 있습니다
내가 살고 있는 집,
혹은 내가 세를 준 내 집이
전월세 신고가 정상적으로 등록됐는지
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
🤔 왜 확인이 필요할까요?
2025년 6월 1일부터
전월세 신고제 위반 시 과태료 최대 100만 원 부과됩니다.
그리고 신고는
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해야 하죠.
✅ 집주인도,
✅ 세입자도
서로 ‘설마~ 누군가 했겠지’ 하고 지나가다
나중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요.
그래서 직접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💡 확인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
전월세 신고 여부는
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📍 바로가기
✅ [전월세 신고 여부 확인하는 방법 – STEP BY STEP]
1️⃣ 위 사이트(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)에 접속합니다
👉 https://rtms.molit.go.kr
2️⃣ 상단 메뉴에서
[주택임대차 신고 이력 조회] 클릭
3️⃣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
4️⃣ 본인 명의로 등록된 계약 건 확인
→ 주소 / 계약일자 / 보증금 / 월세 등 정보 확인 가능
✔️ 세입자든, 집주인이든
계약에 본인 이름이 들어가 있다면 조회할 수 있어요!
⚠️ 이런 경우 꼭 확인해보세요
- 계약서를 썼지만 신고 여부를 들은 기억이 없다면
- 중개업소에서 “다 해드릴게요~” 했지만 확인 문자나 서류를 못 받았다면
- 세입자/집주인과 따로 연락이 안 되는 상황이라면
- 기존 집에서 나왔는데 과태료 고지서가 날아왔다면(!)
👉 이럴 땐 무조건 이력조회 먼저!
📝 마무리 요약
확인 목적 | 전월세 계약이 신고되었는지 확인 |
확인 사이트 |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|
메뉴명 | 주택임대차 신고 이력 조회 |
로그인 방식 | 공동인증서 or 간편인증 |
확인 가능 정보 | 주소, 계약일, 금액, 신고 여부 등 |
자 이렇게 확인해 봤더니 신고가 안 되어있으면!
얼른 전월세신고 (주택임대차계약신고)를 해야겠죠
다음 포스팅에서는 전월세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온라인으로도 가능하니 아래 링크로 확인하시고
과태료 물지 않게 얼른 신고하세요!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종부세, 무엇이 달라졌나? (2) | 2025.05.30 |
---|---|
전세 끝나기 전, 꼭 알아야 할 ‘계약갱신청구권’ 실전 가이드 (3) | 2025.05.29 |
5월 27일부터 전세계약 전에도 ‘집주인 정보’ 확인 가능! (1) | 2025.05.28 |
전세사기, 아직도 당하는 사람이 있다고요?! (0) | 2025.05.26 |
2025년 6월부터 전월세 신고 안 하면 과태료 낸다? (0) | 2025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