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약 가점 계산법 + 전략 세우는 팁 (실제 가점표 활용)
2025. 6. 6. 19:03ㆍ부동산
🏡 청약 가점 계산법 + 전략 세우는 팁 (실제 가점표 활용)
“당첨만 된다면 전세 걱정 끝인데…
청약 가점 계산이 너무 어려워요!”
내 집 마련의 첫 관문, 청약제도
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워하는 게 바로 ‘청약 가점제’입니다.
오늘 포스팅에서는
✅ 가점 계산 공식
✅ 실제 가점표 예시
✅ 전략 세우는 팁까지
완전 초보도 이해할 수 있게! 정리해드릴게요.
📌 청약 가점제란?
청약 가점제는 무주택자 중심의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
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기준으로 점수를 계산해
가점이 높은 순으로 당첨자를 선정합니다.
📍 적용 대상: 국민주택 (전용 85㎡ 이하), 민영주택 중 75% 이상이 가점제로 선발됨.
🧮 청약 가점 계산 공식
총 84점 만점으로 구성되며,
다음 세 항목에서 점수를 더한 총점으로 당첨이 좌우됩니다.
설명
항목 | 점수 범위 | 기준 설명 |
무주택 기간 | 0~32점 | 무주택 기간 1년당 2점 (최대 16년 = 32점) |
부양가족 수 | 0~35점 | 본인 제외, 같은 주민등록등본상 가족 수 (최대 6명 이상 = 35점) |
청약통장 가입기간 | 0~17점 | 1년당 1점 (최대 17년 = 17점) |
728x90
📊 실제 가점표 예시 (2025년 기준)
무주택 기간 | 점수 |
1년 | 2점 |
5년 | 10점 |
10년 | 20점 |
16년 이상 | 32점 |
부양가족 수 | 점수 |
없음 | 0점 |
1명 | 5점 |
2명 | 15점 |
3명 | 20점 |
4명 | 25점 |
5명 | 30점 |
6명 이상 | 35점 |
청약통장 가입기간 | 점수 |
1년 | 1점 |
5년 | 5점 |
10년 | 10점 |
17년 이상 | 17점 |
📌 예시
무주택 기간 10년 (20점) + 부양가족 2명 (15점) + 청약통장 8년 (8점)
→ 총 가점: 43점
💡 전략 세우는 팁
1. 내 점수를 미리 계산해보자
현재 점수를 기준으로 서울권 평균 가점 (55~70점대)과 비교하세요.
2. 가점이 낮다면? → 추첨제 노려라!
-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과 부양가족 수가 핵심
- 점수 상승이 어렵다면 추첨제가 있는 단지 공략
(예: 민영주택 중 전용면적 85㎡ 초과, 수도권 외 지방 등)
3. 지역 우선공급 요건 활용
- 해당 지역 1년 이상 거주자에게 우선 공급
- 가점이 낮아도 지역 요건 충족 시 가산점 없음에도 당첨 확률 상승 가능
4. 부양가족 수 인정 기준 꼭 확인!
- 같은 주소지에 등본상 3년 이상 동거 중인 가족만 인정됨
- 자녀, 배우자, 부모 포함 / 형제·자매는 제외
✍️ 마무리 정리
항목 | 내용 |
가점 총점 | 84점 만점 |
핵심 항목 |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 기간 |
실질 평균 가점 | 수도권 인기 지역 60점대 후반 예상 |
대안 전략 | 추첨제/지방공급/생애최초특공 등 병행 |
🎯 결론
청약 당첨은 단순 운이 아닌 데이터 싸움입니다.
내 점수는 몇 점인지, 어떤 단지를 노려야 할지 전략적으로 접근하세요.
아래 포스팅에서 추가 정보를 더 확인해 보세요!
👉 "특공제도 활용법"도 함께 다룰 예정입니다.
관심 있으시면 알림 설정도 잊지 마세요 😊
300x250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세 사는 직장인이라면 무조건 보세요 - 월세 세액공제 받는 법 (0) | 2025.06.06 |
---|---|
생애최초 특별공급 자격 조건 총정리 (2025년 최신판) (3) | 2025.06.06 |
2025년 임대사업자 등록제도 개편 완전 정리 (3) | 2025.06.04 |
2025년 종부세, 무엇이 달라졌나? (2) | 2025.05.30 |
전세 끝나기 전, 꼭 알아야 할 ‘계약갱신청구권’ 실전 가이드 (3) | 2025.05.29 |